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함께 할 배우자를 만나셨나요?
저는 운이 좋게 어린나이에 만나 제 곁에는 이쁜 신부가 있습니다(글 보고 있니?)
하지만, 직장 동료들을 보면 30대 초중반이지만
아직 제 짝을 만나지 못하고 아까운 세월을 보내고 있는 동료들이 많은데
그들을 볼때마다 결혼정보업체가 생각이 납니다.
과연 그 업체들을 통해서 주선을 하면 효과가 있는지?
정말 믿을만 한 곳인지 궁금했습니다.
그리하여 주변에 이용했다는 지인들과, 인터넷 후기글들을 종합하여 오늘의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결혼정보업체 과연 믿을 만한가
의혹1. 결혼정보업체?
그거 초반에는 이쁜 알바생이 나와
여러분들은 혹시 저런말 들어보셨나요?
초창기에는 결혼정보업체에서 고객에게 신뢰감을 쌓기 위한 미끼로 알바생을 사용했었습니다.
만약 처음 소개팅자리에서 별로인 사람이 나왔으면 고객은 환불을 할테니깐요.
1~2번은 정말 완벽한 상대방을 보여주고 이후부터 슬슬 본색을 드러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요?
확실하지는 않지만 알바생을 쓸 이유가 없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가연'이라는 결혼정보업체의 2019년 가입자수는 무려 616,107명입니다
5개 정보업체 가입자수를 더했을 시 무려 130만명입니다.
이렇게 수요가 많습니다. 물론 성비의 균형은 알 수 없지만 생각보다 여성 회원수가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결혼정보업체를 통한 상대방은 실제 고객이 나옵니다.
2. 기본만남 횟수 + a
두 번째로는 만남 횟수입니다.
조건에 따라 결혼정보업체의 주선비용은 천차만별입니다.
- 그냥 여자면 된다 → 5회 만남에 50만원
- 20대 여자에 직업만 있으면 된다 → 5회 만남에 150만원
이런 식으로 조건이 붙을수록, 그리고 희귀할수록 상대방의 가치가 올라가서 주선비도 올라가는 것이죠.
그래서 보통은 2~300만원 에 5번 만남이 일반인들에게는 인기상품이라고 합니다.
한번 만남에 60만원이라고 하면 여러분들은 선뜻 계약할 할 수가 있나요?
이점을 파악하고 보너스 기회 3~4번을 더 준다고 합니다.
그러면 한 건당 비용이 3~40만원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식으로 가입 유도를 많이 합니다.
그리고 횟수를 다 이용하지 않고 환불을 요청할 경우,
환불이 쉽지않고, 손해를 많이 보게 됩니다.
3. 한순간에 갑→ '을'로 된다.
결혼정보업체와 계약을 진행하는 중에는 회사에서 깍듯이 대해줍니다. vip고객처럼요.
하지만 계약이 성사되면 그 때는 갑을 관계가 바뀌게 된다고 합니다(많은 후기글)
대충 횟수만 채우려는 매니저들이 많다고 한다.
왜냐면 한 매니저당 배당되는 커플의 수가 100커플 이상이라고 하니 제대로 관리가 될 턱이 있나.
고객이 사진을 보고 pass, pass 하면 매니저는 일단 만나보라고 한다.
사진만 보고 판단하지말고 실물, 그사람의 성경 등등 만나봐야 알 수 있다고 현혹을 하기 시작한다.
사진을 보고 내 스타일이 아니더라도 아직 횟수가 남아있고, 한명만 만나지 말고 여러명을 동시에 만나서
그중에서 선택해라고 조언해주는 매니저도 있다고 한다.
언뜻 듯기에는 그럴싸해보이지만, 그들에게는 하루 빨리 횟수를 다 채우고 끝내고 싶어하는 목적이다.
마무리
인터넷 글을 보거나, 주위에서 결혼정보업체를 통해 결혼 했다는 소식을 듣는 것은 손에 꼽을 것이다.
그만큼 마음에 드는 이성을 찾기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바늘같은 확률을 뚫고 커플이 성사되는 일이 있으니!! 이 업계가 망하지 않는 것이다.
일상적인 소개팅으로는 가망이 없고, 제3자의 도움을 빌어 어떻게서라도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어하는 그들의 약한 마음을
그들은 노리는 것이다.
이 글은 결혼정보업체를 겨냥하는 것도, 추천하는 것도 아니다.
선택은 여러분의 판단이며, 좋은 상대방을 만나 행복하게 살았으면 한다!
이만.
'잡다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은 미래화폐가 될 것인가?(feat. 안유화 교수) (11) | 2022.07.21 |
---|---|
군 가산점 찬성 vs 반대 (모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기) (10) | 2022.07.18 |
근무시간 9 to 6 (8시간)언제부터 시작이 되었는가? (6) | 2022.07.13 |
맨홀의 뚜껑이 동그라미여야만 하는 이유 3가지 (1) | 2022.07.12 |
라면의 면발이 노란색인 이유? (국수는 흰색인데) (0) | 2022.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