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란?
소득 구간에 따라 가입자의 납입 금액에 비례, 정부가 3~6%를 지원해 주면서 목돈 마련을 도와주는 프로젝트
최대 70만원 납입 60개월 납부 = 42,000만 원
정부 지원 800만 원
총 5,000만 원!!
청년도약계좌 조건
아래 두 가지 요건 동시 충족해야 함
1. 만 19세 ~ 34세 미혼 청년
단, 병역이행을 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력 계산 시 미산입, 따라서 2년 군대를 갔다면 만 36세까지 가능.
2. 개인 소득 및 가구소득 기준 충족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이하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2022년 중위소득 180%
1인가구 | 3,500,662 |
2인가구 | 5,868,153 |
3인가구 | 7,550,462 |
4인가구 | 9,217,944 |
5인가구 | 10,844,127 |
6인가구 | 12,432,607 |
2023년 중위소득 180%
1인가구 | 3,740,206 |
2인가구 | 6,221,079 |
3인가구 | 7,982,669 |
4인가구 | 9,721,735 |
5인가구 | 11,395,238 |
6인가구 | 13,010,366 |
아직까지 윤석열 정부에서 기준 중위소득은 2022년으로 할 건지(청년희망적금처럼) 새롭게 2023년으로 할건지 정확하게 나오지 않았으므로, 기다려보셔야 될 것입니다.
아무래도 확률이 높은 건 2022년도 기준 소득으로 보는 것인데, 대부분의 직장 근로소득자는 작년 원천징수영수증으로 소득은 증빙하기 때문이죠
2022년도 중위소득 180%를 세전 연봉으로 환산한다면?
1인 가구 세전 = 42,007,944원
2인 가구 세전 = 70,417,836원
3인 가구 세전 = 90,605,544원
4인가구 세전 = 110,615,328원
5인가구 세전 = 130,129,524원
6인가구 세전 = 149,191,284원
이렇게 나오겠네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능여부
아직까지 정확하게 나온 지침이 없기에 중복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습니다.
조금 더 지켜봐야겠습니다.
이번 청년도약계좌로 청년들은 목돈 마련이 가능하여 향후 주택 구입에 큰 보탬이 되리라 생각이 드는데요... 저같이 결혼한 연봉도 낮은 30대는 너무 슬픈 현실입니다 ㅠㅠ
신혼부부 정책도 청년 정책에 비해서 너무 부족하기도 하고, 여러모로 힘이 드는 건 매한가지네요~
여러분들 다들 힘을 내시길!!
댓글